예년보다 늦게 발생한 1호 태풍 '에위니아'가 어제 새벽, 일본 남쪽 해상에서 소멸했습니다. <br /> <br />올여름에는 태풍의 영향은 예년보다 적겠지만, 가을 태풍의 위력이 더 강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한반도 태풍 전망을 김민경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본 남동쪽 해상에 거대한 구름, 어제 새벽에 소멸한 올해 첫 태풍 '에위니아'가 남긴 비구름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30년 동안 5월까지 발생한 태풍은 평균 2.5개. <br /> <br />하지만 올해는 5월 말까지 1호 태풍, 한 개뿐입니다. <br /> <br />풍선 한쪽을 누르면 다른 쪽이 부풀어 오르는 것처럼 대기 중 한 곳에 저기압이 발생하면 주변에는 고기압이 만들어집니다. <br /> <br />인도양과 중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높아 대류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저기압이 만들어지자, 태풍 발생지인 서태평양에는 고기압이 형성되면서 발생 환경이 만들어지지 않은 겁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은 올여름에는 태풍의 영향이 적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경숙 / 기상청 기후예측과장 : 여름철 태풍은 저희가 (예년보다) 적거나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%로 보고 있고요.] <br /> <br />북태평양 고기압이 서쪽으로 확장하면서 태풍이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중국 남부로 이동하거나, 타이완 부근에서 방향을 틀어 일본을 향하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기상청은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문제는 가을 태풍입니다. <br /> <br />가을에는 여름보다 바다에 열이 많아 태풍이 강하게 발달하기 좋은 조건입니다. <br /> <br />여름철에 우리나라를 뒤덮었던 북태평양 고기압이 물러나면서 한반도 주변으로 태풍의 길이 열리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문일주 / 제주대학교 태풍연구센터장 : 북태평양 고기압이 가을철에도 물러나지 않고 (우리나라 주변에) 버티고 있으면 제트 기류도 밀려서 우리나라에서 좀 약해지거나 더 북쪽으로 밀려가 있거든요. 강한 제트 기류의 영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급격하게 건조공기가 들어오면서 태풍이 약해지는데 제트 기류가 약하게 되면 태풍이 어느 정도 강도를 유지하면서 계속 한반도로 접근할 수 있는 겁니다.] <br /> <br />1호 태풍 에위니아는 한반도에 영향 없이 소멸했지만, 올해 전 세계 바닷물 온도가 관측 사상 최고치를 보이고 있어 '슈퍼 태풍'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민경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:박정란 <br />디자인:김진호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민경 (kimmin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060101193903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